
목회칼럼
현재 위치 : 커뮤니티 > 목회칼럼
어느날 기근이 있으므로 창12:10-20 +
어느날 기근이 있으므로 창12:10-20 +
본문은 이렇게 시작 됩니다. 창12:10절에 보시면 " 땅에 기근이 들었으므로 아브람이 애굽에 거류하려고 그리로 내려갔으니 이는 그 땅에 기근이 심하였음이라”기근이 들었으므로 아브라함이 애굽으로 내려갔다. 농경시대에 기근이 있었다는 것은 굉장한 타격이죠. 요즈음 말로 우리에게 실감나는 현상으로 바꿀 수 있다면 최악의경제위기가 왔다 이런 얘기입니다.
경제적공황의 충격은 비단 아브라함 한사람에게만 아니라 인생을 살아가는 사람치고 경제적 타격에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문제는 나의 삶에 이런 경제적 충격이 다가올 때 우리가 어떻게 이것을 맞이하느냐? 특별히 그리스도인으로서 경제적 시련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질문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1. 그러나 아브라함은 실패했습니다.
본문을 통해서 아브라함이 하지 말았어야 할 일들이 무엇인가? 경제적 시련이 우리의 삶에 다가올 때 우리가 배워야 할, 기억해야 할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그 첫째는 우리의 삶의 자리를 쉽게 옮기지 말아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본문 10절에 그 땅에 기근이 심하였음으로 아브라함이 어디로 내려갔습니까? "애굽에 거류하려고 그리로 내려갔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창12:4절을 보면“이에 아브람이 여호와의 말씀을 따라갔고 롯도 그와 함께 갔으며 아브람이 하란을 떠날 때에 칠십오 세였더라”아브라함이 하란을 떠나 가나안 땅으로 올 때에 아브라함이 무엇을 따라왔니까?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말씀을 붙들고 아브라함은 가나안 땅까지 올수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가나안에 들어오자마자 하나님이 나타나셔서 아브라함에게 말씀하시기를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겠다, 그러면 어떻게 해서든지 아브라함은 그 땅에 머물러 있는 것이 맞지 않겠습니까? 그런데 조금 어려움이 생겼다고 쉽게 포기하고 애굽으로 내려간 것입니다.
2. 아브라함은 축복의장소가 조금 어렵다고 복을 차버린 것입니다.
그리고 이 사건이 아브라함만의 사건이 아니라 우리도 인생의 어려움의 문제 앞에 부딪치면 장애물이 생기면 하나님의 뜻을 묻고 찾고 말씀을 붙들기보다 우리는 삶의 현장에서 도피하려는 유혹을 받습니다. 도피할 때 저마다 자기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브라함에게도 이유가 있었습니다.
하나님이 정말 나를 이 땅에 살기를 원하신다면 왜 이런 어려움이 찾아올까라고 아브라함은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아브라함과 우리의 공통점은 하나님이 축복하신다면 우리 인생의 길은 만사형통해야한다. 이것은 우리가 성경을 잘못 해석한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자녀임에도 불구하고 믿음으로 살아가는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이 땅을 살아갈 때에 환란은 있을 수가 있다고 성경은 가르칩니다.
저 유명한 느헤미야는 바벨론 포로로 끌려간 2세대 이방인으로 페르시아라는 나라에서 출세해서 장관까지 되었습니다. 그러나 느헤미야는 자기 조국을 잊을 수가 없었어요. 예루살렘이 불타버렸습니다. 그 소식을 듣고 통곡하며 울 때 자기가 모시고 있는 아닥사스다 왕이 느헤미야에게 고국으로 돌아가서 성을 쌓아주고 오라고합니다. 얼마나 기뻤겠어요? 우리가 느헤미야서에 보면 여호와의 선한손이 나를 축복하셔서 왕이 나를 허락해주셨다. 기도의 응답이었습니다. 하나님의 뜻이라고 확신할 수 있습니다. 그는 기쁨과 감격으로 조국으로 가서 예루살렘에 성을 쌓아주는 일을 시작합니다. 그러나 시작하자마자 만사형통 했습니까? 어려움에 부딪칩니까? 일을 시작하자마자 어려움이 닥칩니다. 하나님이 허락하신일이요 기도에 응답이었습니다, 하나님의 축복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일을 착수하자마자 느헤미야는 장애물을 경험합니다. 그러나 장애물 때문에 느헤미야는 더 엎드려서 기도합니다. 그리고 마침내 그는 그 과업을 완성할 수가 있었습니다.
3. 우리가 배웠어야할 또 하나는 제단 쌓기를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합니다.
경제적 시련이올 때 인생의 어려움이올 때 우리는 무엇보다 제단 쌓기를 소홀히 하지 말아야합니다. 아브라함이 애굽으로 내려갈 때. 참 이상한 것은 정말 기도가 필요한 순간에 아브라함이 기도하지 않습니다. 마침내 아브라함이 애굽으로 갈 때 두려워했던 현실이 찾아 왔어요. 아내가 이쁘니까 그 나라의 왕 바로가 데려오라 그래서 궁중에 갔어요. 그런데 갑자기 바로의 궁중에 사건들이 생깁니다.
본문17절입니다.“여호와께서 아브람의 아내 사래의 일로 바로와 그 집에 큰 재앙을 내리신지라” 바로가 왜 그럴까 나중에 알았어보니. 사래가 아브라함의 아내라는 사실을 하나님이 알려 주지 않습니까? 그래서 그녀를 건드리지 않습니다. 본문18절입니다.“바로가 아브람을 불러서 이르되 네가 어찌하여 나에게 이렇게 행하였느냐 네가 어찌하여 그를 네 아내라고 내게 말하지 아니하였느냐”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이 기도하지 않으니까. 예배하지 않으니까 무시를 당하고 있습니다.
어떤 때보다 기도가 필요한 시간에 기도하는 아브라함의 모습을 볼 수가 없습니다. 찬양하는 아브라함의 모습을 볼 수가 없습니다. 예배하는 아브라함의 모습을 볼 수가 없습니다. 그럼 언제 아브라함이 언제다시 제단을 쌓게 되는 줄 아십니까? 나오미처럼 다 잃고 처음자리로 돌아와 제단을 쌓고 회복합니다. 창세기13장1절에 아브라함이 애굽을 떠나서 다시 가나안 땅으로 옵니다. 그가 처음으로 단을 쌓았던 벧엘에 와서 거기서 비로소 아브라함은 다시 하나님의 이름을 부르기 시작합니다.
여러분, 우리의 삶의 시련이 닥쳐오고 경제적인 어려움을 당할 때 그럴 때일수록 할 일이 뭔 줄 아세요? 그럴 때일수록 기도 하셔야 합니다. 그럴 때일수록 찬양 하셔야 합니다. 그럴 때일수록 예배 하셔야 합니다. 그럴 때일수록 봉사도 더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할렐루야! 모두 승리하시는 하나님의 자녀 되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