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함의 아내 사라는 90세에 이삭을 낳았습니다. 아브라함 부부에게 일어난 이 변화 이것은 얼마나 충격적이 경험이었습니까?거의 포기했다가 약속한대로 이삭을 낳게 되었을 때 아브라함에게 일어난 변화중의 하나는 그가 부활신앙을 갖게 되었다는 것입니다.요즘 현대 교인들이 점차 부활신앙을 잃어버려 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부활 신앙을 잃어가고 있는 현대에서 오늘 우리는 본문을 앞에 놓고 중요한 두 가지의 물음을 통해서 답을 얻으려고 합니다.
첫째로, 아브라함은 어떻게 부활신앙을 갖게 되었을까요?둘째로, 아브라함에게 있어서 부활신앙은 왜, 혹은 무엇 때문에 중요했을까요?우리는 이 대답을 통해서 어떻게 부활신앙을 소유할 수가 있는가? 그리고 오늘날 이 부활신앙이 우리에게 있어서 왜 중요한가? 라는 물음에 대한 해답을 함께 찾고자 합니다. 먼저 아브라함에게 있어서 어떻게 이 부활신앙이 형성되었는가를 생각해 보겠습니다.첫째는 경험적 과정을 통해서, 둘째는 논리적인 사색의 과정을 통해서일 것입니다. 그러면 본문으로 돌아와서 어떻게 아브라함이 이 부활신앙에 도달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아브라함에게서는 두 가지 과정을 다 찾아볼 수 있습니다.
1. 첫째로 경험적 과정입니다.
아브라함과 사라가 이삭을 얻었을 때 아브라함의 나이는 100세이었으며, 사라는 90세였습니다. 우리가 생물학적으로 보면 그 잉태가 정말 가능할 수가 있겠습니까?본문의 롬4:19절 말씀을 보겠습니다.“그가 백 세나 되어 자기 몸이 죽은 것 같고 사라의 태가 죽은 것 같음을 알고도 믿음이 약하여지지 아니하고”이 말씀처럼 100세가 된 아브라함을 묘사하기를 자기 몸이 죽은 것과 같았다고 했고 사라의 경우는 사라의 태가 죽은 것이나 마찬가지였음에도 홀연히 하나님의 놀라우신 이적을 통해서 잉태하게 되었습니다. 기적이 아닌가요?
이 기적을 체험하면서 아브라함과 사라는 또 하나의 신앙을 갖게 되었습니다.내 안에 죽었던 태, 내 육신도 거의 죽었던 이 상태 속에서 새로운 생명을 잉태하는 것이 가능할 수가 있었다면, 우리가 믿고 있는 하나님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능력을 확신하게 됩니다. 이 경험을 통해서 아브라함과 사라가 발견한 하나님은 죽은 자를 살리시며 없는 것을 있는 것 이 같이 부르시는 하나님이신 것을 발견한 것입니다. 이 부부는 이 잉태의 경험을 통해서 부활신앙의 확신이란 놀라운 체험 앞에 도달하게 된 것입니다.이것이 경험적 과정이라면 또 하나는 논리적 과정입니다. 아브라함은 이 논리적 과정을 통해서도 부활을 확신하게 됩니다.
2. 논리적 과정을 과정입니다.
이삭이 태어난 후에 시간이 경과됩니다.기적과 같이 태어난 이삭이었는데 이삭을 바라보시면서 어느 날 하나님이 아브라함에게 아주 감당하기 어려운 명령을 내리십니다.“네 아들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이 말씀은 이삭을 죽음의 자리에 내어놓으라는 것입니다. 이 때 아브라함은 사고의 혼란을 경험하기 시작합니다. 이 아들은 하나님이 약속하신 아들입니다. 뿐만 아니라 이 아들을 통해서 아브라함의 후손들이 하늘의 별처럼, 바닷가의 모래처럼 많아지리라고 약속하셨습니다.
그런데 이 아들이 죽으면 하나님의 약속이 어떻게 됩니까?여기서 생각의 갈등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내 아들을 바치면 모든 것이 끝나고 하나님의 약속이 무효가 되는데 나는 명령대로 바친다. 그러나 이것이 끝이 아닐 것이다. 하나님이 그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내 아들은 반드시 다시 살아야 한다. 내가 비록 순종의 결단을 통해서 이 아들을 드린다 할지라도 하나님은 반드시 내 아들 이삭을 다시 살리실 것이다”라는 하나의 결론을 내립니다.이것이 지나친 제 추측일까요? 성경에서 믿음의 장인 히11:17-19을 보시면 이 말씀이 기록되여 있습니다.겠습니다.“아브라함은 시험을 받을 때에 믿음으로 이삭을 드렸으니 그는 약속들을 받은 자로되 그 외아들을 드렸느니라 18 그에게 이미 말씀하시기를 네 자손이라 칭할 자는 이삭으로 말미암으리라 하셨으니 19 그가 하나님이 능히 이삭을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리실 줄로 생각한지라 비유컨대 그를 죽은 자 가운데서 도로 받은 것이니라”아브라함은 순종하기 위해서 아들을 바치지만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되기 위해서는 하나님이 그 아들을 다시 살리실 것을 믿은 것입니다.
3. 성경은 아브라함처럼 우리도 믿을 수가 있음을 말해 주고 있습니다.
이것이 본문의 23절, 24절의 말씀입니다.“저에게 의로 여기셨다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 위한 것이 아니요 의로 여기심을 받을 우리도 위함이니 곧 예수 우리 주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를 믿는 자니라.”아브라함이 하나님이 그에게 주신 외아들 독생자 이삭의 부활을 믿을 수가 있었던 것처럼 하나님은 오늘 저와 여러분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을 믿도록 요구하십니다. 예수님은 자기의 친구 나사로의 무덤 앞에서 온 세계가 들어야 할 놀라운 메세지를 선포하셨습니다.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 살아서 나를 믿는 자는 영원히 죽지 아니하니리 이것을 네가 믿느냐?” 여러분, 이것을 믿으십니까?
구원은 적극적인 측면과 소극적인 측면이 있습니다.소극적인 측면은 죄사함을 받는 것입니다. 우리가 죄사함을 받기 위해서 예수께서는 우리의 죄를 담당하시고 십자가에서 피 흘려 돌아가셔야만 했습니다. 이것이 구원의 소극적인 측면입니다. 구원의 적극적인 측면은 우리가 죄사함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의롭다함을 얻는 것입니다. 불의했던 우리가 하나님의 은혜로 의롭다함을 얻고, 의로우신 하나님과 교제하며 그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받아 하나님이 원하시는 놀라운 능력의 삶을 사시기 바랍니다. 아멘! 아멘!
주소 : (61139) 광주광역시 북구 각화대로13번길 3(각화동) 찬양권능교회 TEL : (062) 417-0191
Copyright ⓒ http://www.cgchurch.or.kr// All Rights Reserved. | Powered by jQuery R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