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회칼럼
현재 위치 : 커뮤니티 > 목회칼럼
약속이 있는 첫 계명 엡6:1-4절 +
약속이 있는 첫 계명 엡6:1-4절 +
현대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라고 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특징은 뉴 에이지 즉 새로운 세대는 기존의 질서를 뒤집어 놓는 것입니다. 결과로 부모의 권위, 교사의 권위, 성직자의 권위가 전례 없이 땅에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특히 21세기의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이 부모의 권위의 추락으로 오는 가정의 붕괴입니다. 가정이 무너지면 사회가 무너지고 나라가 무너집니다. 하나님께서 세우신 최초의 사회 단위인 가정이 모든 사회 단위의 기초이기 때문입니다. 가정을 지탱하는 힘의 근거는 바로 효 사상입니다. 왜냐하면 효 사상은 천륜이면서도 친권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본문 말씀을 통해 가정이 회복되는 어버이 주일이 되시기 바랍니다.
그럼 우리가 부모를 공경해야 하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엡6:1절을 보면“자녀들아 주 안에서 너희 부모에게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하나님의 명령이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출20:12절 십계명 중 제5계명을 그대로 인용하여 1절에 자녀들아 주 안에서 너희 부모에게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이 말씀은 부모를 공경하는 것 결코 상대적일 수 없습니다. 순종입니다. 복종입니다. 절대적입니다. 왜? 하나님의 명령이기 때문입니다. 또 마땅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옳다는 말은 마땅하다는 말입니다.
인간에게는 자신을 이 세상에 존재하게 만들어준 두 주체로서 무조건적으로 순종하여야 할 대상이 둘 있습니다. 이 두 주체가 없었다면 인간은 그 누구도 세상에 태어나 살아갈 길이 없습니다. 그것은 바로 천지 만물을 지으신 여호와 하나님과 오직 하나님의 섭리에 의하여 살과 피를 나에게 나누어주심으로 나를 낳고 키워주신 부모님이십니다. 더욱이 하나님은 우리의 머리카락까지 세시며 우리를 끝없이 용서하시고 구원해 주시는 사랑으로 우리를 돌보십니다.
또한 부모님도 이 땅에서는 더 이상 찾을 수 없는 헌신으로 우리를 낳고 키워 주십니다. 따라서 사람은 그분들이 나에게 갖는 존재론적 의미와 아울러 그분들이 자신에게 쏟아주신 사랑으로 인하여 그 분들께 복종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특히 주 안에서 부모에게 순종하라 고 합니다. 만 일 주일이 어버이날이라면 주안에서 부모를 공경하라 했으므로 먼저 하나님께 예배드리고 부모님을 찾아가는 것이 순서입니다. 언제나 주안에서를 빼놓으면 안됩니다. 주안에서 해야 합니다. 어머니 회갑날이 주일날이라면 토요일로 당기든지, 미루던지, 주일은 하나님께 예배부터 드려야 합니다. 왜 그렇습니까? 언제나 주안에서 살 때 복은 하나님께서 주시기 때문에 하나님과의 관계가 우선 되어야 됩니다.
그럼 네 부모를 공경하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무엇을 하라는 말입니까? 엡6:2절을 보면“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은 약속이 있는 첫 계명이니”여기에 나오는 공경 <키베드>는 성경에 존중하다, 영화롭게 하다로 번역되어 나오는 말입니다. 우리가 자식 된 도리로써 부모를 부모로 대접하는 것을 말한다. 잠23:22절에“너 낳은 아비에게 청종하고 네 늙은 어미를 경히 여기지 말라” 부모가 잘못해도 부모를 경히 여기며 멸시하면 안 됩니다. "네 부모를 공경하라"(키베드) 공경이란 무겁게 여기라는 말씀입니다. 높은 가치를 매기라는 얘기입니다. 전능하신 하나님 앞에 존귀와 영광을 돌리라고 말씀할 때 바로 이 존귀라는 단어와 공경이란 말이 또 같은 단어로 쓰이고 있습니다. 이 "공경"이란 단어가 명사형으로 쓰여질 때에 우리의 오장육부 가운데 간장을 일컫기도 합니다. 우리의 신체 가운데 간 기능이 얼마나 중요합니까? 바로 그 간 기능과 공경이란 말은 같은 단어를 쓰고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말에 애간장 태운다는 말과 통하는 말입니다. 중국고사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원숭이 새끼를 어미에게서 떼어 데려가자 그 어미가 백 리 이상을 좇아왔다고 합니다. 애닯게 따라오던 어미가 그만 죽었는데 조사를 해보았더니 창자가 다 녹아 있더라는 것입니다. 애간장 태우기 까지 자식을 사랑하는 부모의 은혜를 깨달을 때가 바로 사람이 철 들 때입니다.
이렇게 하나님은 약속 있는 첫 계명으로서 부모 공경하면 네가 잘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고 하는데 왜 자녀들이 부모를 공경할 줄 모릅니까? 그 이유는 바로 부모의 은혜를 다 몰라서 그런 것입니다. 실은 부모의 은혜라는 것은 말로다 표현 할 수 없고 값으로 다 나타낼 수 없는 은혜입니다.만약 우리 가운데 우리 부모는 내게 해 준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자식이 있다면 그 보다 더 못난 자식이 없는 것입니다.
부모의 은혜라는 것 우리가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훨씬 더 많고 큽니다. 여러분 어릴 때 몇 살 때 일 기억납니까? 과학적으로 연구해본결과 다섯 살에서 여섯 살 그 이후 기억 밖에 나지 않는답니다. 그 이전 것은 기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부모의 수고는 다섯 살 이전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런데 어찌 해준 것이 없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또 부모를 공경하라는 말은 부모를 영화롭게 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라는 말입니다. 부모가 어떤 직업을 가졌든지, 무슨 일을 하셨든지 간에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이 바로 효도입니다. 부모님의 직업과 삶에 대하여 긍지를 가지며 부모님이 못다 이루신 것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자식의 모습이 바로 부모님을 공경하는 것입니다.
오늘 성경은 부모를 공경하는 것은 약속 있는 첫 계명이라고 합니다. 약속 있는 첫 계명이란 무슨 뜻입니까? 2절 보시겠습니다.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은 약속 있는 첫계명이니” 약속 있는 첫 계명이 무슨 말입니까?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부모 공경하는 자에게 주어진 복이 하나님의 약속가운데 있다는 것입니다. 그 약속이 엡6:3절을 보면 있습니다.“이로써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 아멘! 아멘!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