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회칼럼
현재 위치 : 커뮤니티 > 목회칼럼
착하고 충성된 종아. 마25:14-30 +
착하고 충성된 종아. 마25:14-30 +
오늘의 본문은 비유입니다. 이 비유에 주인이 먼 타국에 출타한 기간 주인으로부터 어떤 삶의 과제를 위임받은 종들의 삶의 유형이 그려져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주인이 돌아오는 그 시간 종들에게 책임이 부여되고 주인이 돌아와서 그 책임을 묻는 비유입니다. 이 비유에 기다림의 삶의 유형으로 두 가지 형태가 나타나 있습니다. 먼저는 다섯 달란트 받은 사람, 그 다음은 두 달란트 받은 사람, 다른 하나는 한 달란트 받은 사람입니다. 여기서 다섯 달라트 받은 사람과 두 달란트 받은 사람은 자신의 책임에 신실한 긍정적인 유형입니다. 그리고 나머지 한 달란트 받은 사람은 신실하지 못한 부정적인 유형입니다.
비유에서 긍정적인 유형보다 부정적 유형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비유에서 주인이 타국으로 떠날 때 종들에게 맡기고 떠난 달란트는 그 시대에 통용되고 있던 화폐 단위의 일종입니다. 그러나 본문의 비유에서 달란트는 화폐를 의미하기보다 종들에게 그들의 능력에 따라 맡긴 하나님의 선물을 뜻합니다. 그 선물이 재능일 수도 있고, 구원일 수도 있고, 복음 또는 빛나는 재주와 뛰어난 재능일수도 있습니다.
1.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비유에서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 말씀했습니다. 여기서 있는 자란 주인으로부터 받은 달란트를 가지고 배를 남긴 사람이며, 없는 자란 주인으로부터 받은 것을 가지고 아무 것도 하지 않은 소극적인 사람입니다. 그러한 사람은 이미 주어진 것까지 빼앗기게 됩니다. 신앙생활에서 적극적이고 창조적으로 삶의 현장에서 들은 바를 실천하고 사랑을 베풀며 살아갈 때, 하나님에 대한 확신이 더 생기고 믿음에 더 부요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들은 진리의 말씀을 들은 것으로 끝내고 오직 자기만을 위해 살아갈 때 하나님 나라에 대한 확신이 약화되고 신앙이 침체 속으로 빠져들게 됩니다. 그리고 후에 주인과 계산할 때 한 달란트마저 빼앗기고 주인이 무익한 종이라 합니다. 본문30절입니다.“이 무익한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쫓으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를 갈리라 하니라”
하나님은 창조주이시기 때문에 우리는 그 분의 창조적 행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가운데서 그 분을 만나게 되고 이미 듣고 배운 바가 확실하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는 반드시 신앙 문제에서만이 아닌 한 개인의 성장 과정에서 발견되는 재능에서도 확인됩니다. 태어날 때부터 예능의 소질이 탁월한 사람일지라도 그것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연마하지 않으면 무용한 것이 됩니다. 그러나 그것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연마해서 다른 사람과 사회를 위해 사용하면 그 달란트는 더욱더 빛나게 됩니다. 하나님께서 주신 달란트는 묻어 두면 없어집니다. 그것을 빼앗긴다는 말로 대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달란트는 창조적 삶을 위해 하나님께서 주신 것입니다. 창조적 삶은 하나님께서 주신 달란트를 통해 표현됩니다.
2. 하나님 나라를 기다리는 자의 삶의 태도인 책임과 창조
먼저 하나님 나라에서 요구되는 것은 하나님께서 각자에게 주신 자기 것의 발견입니다. 비유에서 문제로 제기되는 것이 달란트의 액수가 아닙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양의 문제가 아닙니다. 하나님께서는 어느 누구에게나 그가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요구하시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은 있는 것을 가지고 최선을 다했는가를 물으십니다. 그럼 최선은 누가 하느냐는 자기 것에 대한 가치를 발견했을 때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그것을 묻어 두게 됩니다. 자기 것에 대한 소중함을 알게 될 때 다른 사람의 것을 넘나 보며 부러워하거나 비교하는 데서 해방됩니다. 우리를 괴롭히는 내적 문제는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오는 좌절, 시기, 질투입니다. 성서에서도 이러한 문제는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한 데서 벗어나는 길은 자신의 것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고 그것을 소중하게 여기고 자기만의 고유한 자랑할 것을 가지고 있을 때, 작은 것으로 행복하게 자족하며 살아갈 수 있습니다. 창조적 삶은 모방이나 흉내가 아닙니다. 자기의 것을 발견해서 그것을 독창적으로 표현해 가는 것입니다.
3. 하나님 나라에서 요구되는 것은 적극적인 능동적인 사람입니다.
한 달란트 받은 사람에게 문제가 되었던 것은 그가 주인으로부터 받은 달란트를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가지고 적적인 삶을 살지 않았다는 데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은 물질에 대한 욕심에서 비롯되는 투기가 아닙니다. 삶의 의미와 목적을 향한 적극적인 삶을 요구하십니다. 그러나 한 가지 알아야 할 것은 우리가 적극적으로 일을 할 때 우리 혼자 하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과 함께 한다는 사실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나타나셔서 생의 거룩한 모험을 요구하셨을 때 아브라함이 그것을 거부하였다면 그는 하나님께서 그에게 주시기로 약속한 복된 미래를 얻지 못했을 것입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을 믿고 그 위대한 모험의 길을 떠났습니다. 그 길은 매우 어렵고 힘든 길이었습니다. 많은 위험이 있었습니다. 아브라함은 그 모험의 길에서 인간의 나약성을 그대로 드러내 보였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 순종하는 믿음 안에서 모험을 떠났기 때문에 실수를 범했지만 하나님은 결국 이 사건에서 저 사건으로 그를 인도하셔서 하나님께서 의도하신 목적지까지 도달하게 하셨습니다.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현재의 우리의 생을 허락하신 하나님께서 언제인가는 우리와 결산을 하실 것입니다. 그때가 없다면 우리의 생은 진정 무의미한 것입니다. 그 결산의 시간에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것은 달란트의 양이 아닙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